고씨중앙종문회 02)755-0919
고씨종문회총본부 064)751-0711, 758-5355
만든이 중시조32세손 고재민 jemina23@naver.com

탐라국 연표

Created with Sketch.

탐라 성주시대 316년 ~ 탐라 성주시대 412년

작성자
제주고씨
작성일
2021-02-14 07:40
조회
181
서기 1259, 기미(己未), 탐라 성주시대 321,고 려 고종46
○ 탐라(耽羅), 경래관(京來官 : 判官)의 과중한 공부제도(貢賦制度)를 상소하여 시정케함.

서기 1260, 경신(庚申), 탐라 성주시대 322, 고려 원종1
○ 고려, 탐라(耽羅)에 일본 및 중국의 선박왕래를 감시하는 방호별감(防護別監)을 설치함.
○ 고려, 탐라(耽羅)에 방어사(防禦使)를 파견함.

▒상세설명
*방호별감(防護別監):고려 시대에, 조정에서 군사적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방 요새에 파견하던 벼슬아치.

서기 1266, 병인(丙寅), 탐라 성주시대 328, 고려 원종7
○ 11월, 성주 고적(髙適), 고려사신 현 석(玄錫)의 안내로 고려를 경유하여 몽고(蒙古)에 다녀옴.
○ 탐라(耽羅), 문행노(文幸奴)의 난을 평정함.

서기 1268, 무진(戊辰),탐라 성주시대 330, 고려 원종9
○ 12월, 몽고장군 도통령(都統領) 일본으로 가는 해로(海路)와 흑산도(黑山島) 답사하고 탐라(耽羅)에 전함 백척과 군수물자를 요구함.

서기 1270, 경오(庚午), 탐라 성주시대 332, 고려 원종11
○ 성주 고적(髙適), 청주종사관(淸州從事官)의 직함을 받고 원종(元宗)을 모시고 몽고에 다녀옴.
○ 6월, 배중손(裵仲孫), 삼별초(三別抄) 난을 일으킴.
○ 9월, 장군 고여림(髙汝霖) 삼별초(三別抄)의 탐라(耽羅) 입도를 막고자 관군 1천을 거느리고 화북포(禾北浦)로 상륙, 환해장성(環海長城)을 쌓음.
○ 11월, 장군 고여림(髙汝霖), 방어사 김 수(金須)와 함께 동제원(東薺院)에 포진하여 삼별초(三別抄)의 별장 이문경(李文京)을 맞아 싸우다 송담천(宋淡川)에서 전사함.

▒상세설명
*삼별초(三別抄): 고려 무신정권(武臣政權) 때의 특수군대. 1219년(고종 6) 최충헌(崔忠獻)의 정권을 계승한 최우(崔瑀)가 방도(防盜) 등 치안유지를 위해 설치한 야별초(夜別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별초란 ‘용사들로 조직된 선발군’이라는 뜻이다. 그 뒤 야별초에 소속한 군대가 증가하자 이를 좌별초 ·우별초로 나누고, 몽골 병사와 싸우다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한 병사들로 신의군(神義軍)을 조직, 이를 좌 ·우별초와 합하여 삼별초의 조직을 만들었다. 삼별초는 무신정권의 전위(前衛)로서 다분히 사병적(私兵的)인 요소도 있었다. 그러나 항몽전(抗蒙戰)에서는 그 선두에서 유격전술로 몽골병을 괴롭혔으며, 무신정권이 무너지고 몽골과 강화(講和)가 성립되고 고려정부가 개경으로 환도하자 개경정부 및 몽골과 대항하여 항쟁하였다.
*환해장성(環海長城): 제주도의 해안선을 따라 쌓아 놓은 성벽

서기 1271, 신미(辛未), 탐라 성주시대 333, 고려 원종12
○ 5월, 고려, 여몽 연합군으로 삼별초(三別抄)의 거점인 진도(珍島)를 공격함.
○ 5월, 별장 김통정(金通精), 삼별초(三別抄)의 나머지 부대를 이끌고 탐라(耽羅)에 들어옴.

서기 1272, 임신(壬申), 탐라 성주시대 334, 고려 원종13
○ 6월, 탐라(耽羅)에 상륙한 삼별초(三別抄), 항파두리(缸坡頭里)에 내,외성(內外城)을 쌓고 세력 확장함.

서기 1273, 계유(癸酉), 탐라 성주시대 335, 고려 원종14
○ 2월, 고려장군 김방경(金方慶), 여몽 연합군으로 삼별초(三別抄)의 거점인 진도(珍島)를 공격함.
○ 4월, 삼별초(三別抄)의 난 평정됨
○ 성주 고 적(髙適), 탐라(耽羅) 유총관(留總管)으로 임명됨.
○ 6월, 고려군 1천명, 몽고군 5백명을 탐라에 주둔시킴.
○ 6월, 몽고, 탐라(耽羅)에 초토사(招討司)설치.

서기 1274, 갑술(甲戌), 탐라 성주시대 336, 고려 원종15
○ 몽고는 제주를 탐라로 복호(復號)시키고 지배.
○ 몽고, 탐라의 세공액(歲貢額)을 매년 모시포(毛詩布) 1백필로 정함.
○ 10월, 몽고, 제1차 일본 정벌(征伐)은 태풍으로 실패함.

서기 1276, 병자(丙子), 탐라 성주시대 338, 고려 충열왕2
○ 3월, 성주 고정간(髙貞幹), 몽고인 임유간(林惟幹)에게 진주 백여개를 구하여 보냄.
○ 4월, 성주 고정간(髙貞幹), 고려에 입조하여 왕으로부터 사물(賜物)과 치하를 받음.
○ 6월, 몽고, 초토사(招討司)를 다루가치총관부(達魯花赤摠管府)라고 개칭함.
○ 문충공(文忠公)고 경(髙慶) 출생

서기 1277, 정축(丁丑), 탐라 성주시대 339, 고려 충열왕3
○ 몽고, 탐라에 몽고죄수 백여명을 이주시킴.
○ 몽고, 목마장(牧馬場)으로 동서아막(東西阿幕)을 설치하여 소, 말, 나귀, 양 등을 방목함.
○ 탐라에 대 흉년이 듬.

▒상세설명
*동서아막(東西阿幕): 고려 후기 원나라가 제주에 만든 목장을 관리·감독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아막은 부대, 조합, 부락, 단체, 주군(州郡)을 의미하는 몽골어로, 한문식으로 표기하여 애마(愛馬)라고도 한다. 제주 지역의 동과 서에 설치된 것이었기 때문에 동서아막이라고 불렀다.

서기 1281, 신미(辛未), 탐라 성주시대 343, 고려 충열왕7
○ 2월, 몽고(元), 성주 고인단(髙仁旦)에게 전선 백척과 군수물자를 준비토록 강요함.
○ 몽고, 한라산(漢拏山)의 목재를 조선용(造船用)으로 벌채함.
○ 몽고, 고려군으로 탐라를 지키게 함.
○ 5월, 몽고, 제2차 일본 정벌(征伐) 태풍으로 실패함.

서기 1282, 임오(壬午), 탐라 성주시대 344, 고려 충열왕8
○ 2월, 몽고(元), 일본의 반격을 대비하여 탐라(耽羅)에 수군(戍軍) 1400명을 주둔시킴.
○ 몽고,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을 폐지함.
[일본정벌차개경(日本征伐次開經)에 설치했었음]

▒상세설명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고려 후기에 원나라가 일본정벌을 위해 설치했다가 뒤에 여·원(麗元)관계를 상징하는 형식적 기구로 기능한 관청

서기 1284, 갑신(甲申), 탐라 성주시대 346, 고려 충열왕10
○ 6월, 몽고(元), 탐라(耽羅)에 병력을 증가시켜 지키게 함.
○ 몽고, 총관부(總管府)를 군민안무사(軍民按撫司)로 개칭함.
○ 몽고, 탐라의 향장목(香樟木)을 가져감.

서기 1291, 신묘(辛卯), 탐라 성주시대 353, 고려 충열왕17
○ 10월, 탐라(耽羅), 몽고(元)에 사신을 보내 동저(東紵) 백필 조공함.

서기 1294, 갑오(甲午), 탐라 성주시대 356, 고려 충열왕20
○ 4월, 성주 고인단(髙仁旦) 몽고(元)에 명마(名馬) 4백필을 바치고 탐라환속을 요청함.
○ 5월, 고려, 원제(元帝)에 탐라의 환속등 4사(事)를 요청함.
○ 5월, 탐라(耽羅), 몽고(元)로부터 고려에 환속(還屬)됨.
○ 11월, 성주왕자(星主王子), 고려에 입조하여 탐라환속의 공로를 치하받음.
○ 고적(髙適), 병부상서(兵部尙書)에 오름.

▒상세설명
*병부상서(兵部尙書): 군사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 병부의 장관

서기 1295, 을미(乙未), 탐라 성주시대 357,고 려 충열왕21
○ 3월, 몽고(元)는 탐라마(耽羅馬), 저포(紵布), 황묘피(黃猫皮)를 가져감.
○ 4월, 고려, 탐라(耽羅)를 제주목(濟州牧)으로 개칭하고 목사(牧使), 판관(判官)을 둠.

서기 1296, 병신(丙申), 탐라 성주시대 358, 고려 충열왕22
○ 2월, 몽고(元), 단사관(斷事官)을 보내어 탐라(耽羅)의 마축(馬畜)을 구처(區處)시킴

▒상세설명
*구처(區處) :변통하여 처리하거나 주선, 안배함.

서기 1298, 무술(戊戌),탐라 성주시대 360, 고려 충열왕24
○ 4월, 탐라(耽羅), 몽고(元)에 사신을 보내 방물(方物)을 바침

▒상세설명
*방물(方物): 토산물(土産物)·토물(土物)의 다른 이름. 어떤 국가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서기 1300, 경자(庚子), 탐라 성주시대 362, 고려 충열왕26
○ 탐라(耽羅), 동서도현(東潟縣)을 설치함.
[14개(個) 현촌(縣村)이 생김]
○ 4월, 상장군 고 세(髙世), 충열왕(忠烈王)을 모시고 몽고(元)에 다녀옴
○ 몽고(元)의 기황후(奇皇后), 탐라(耽羅)의 수산평(首山坪)에 소,말, 등을 방목하고 도근천[(都近川 : 외도(外都)]에 수정사(水精寺)를 세움

서기 1301, 신축(辛丑), 탐라 성주시대 363, 고려 충열왕27
○ 3월,몽고(元), 탐라(耽羅)에 군민만호부(軍民萬戶府) 설치하고 다시 지배함.
[제주(濟州)를 탐라(耽羅)로 복호(復號)함]
○ 5월, 고려, 몽고(元)에 사신을 보내 탐라(耽羅) 군민만호부(軍民萬戶府) 폐지를 요청함.

서기 1303, 계묘(癸卯), 탐라 성주시대 365, 고려 충열왕29
○ 몽고(元), 탐라(耽羅)의 토산물(土産物)이 아닌 공물(貢物)은 면제함.

서기 1305, 을사(乙巳), 탐라 성주시대 367, 고려 충열왕31
○ 몽고(元), 탐라(耽羅)를 고려에 다시 환속(還屬)시킴
[탐라(耽羅)를 제주(濟州)로 복호(復號)함]
○ 11월,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고 세(髙世), 충열왕을 모시고 몽고(元)에 다녀옴

서기 1318, 무오(戊午), 탐라 성주시대 380, 고려 충숙왕5
○ 2월, 탐라(耽羅)의 김 성(金成), 부사 장윤화(張允和)의 폭정에 난을 일으킴.
○ 5월, 성주 고 석(髙 碩), 왕자 문공제(文公濟) 안무사 송 영(宋英)과 합세하여 난을 평정함.
○ 몽고(元), 탐라(耽羅)의 발란을 구실삼아 다시 지배함.

서기 1340, 경진(庚辰), 탐라 성주시대 402, 고려 충혜왕1
○ 2월, 몽고(元)의 발란해(孛蘭奚) 왕을 탐라(耽羅)에 유배시킴.
○ 탐라해안에 왜구(倭寇) 7십여척이 칩입함.

서기 1350, 경인(庚寅), 탐라 성주시대 412, 고려 충정왕2
○ 탐라(耽羅),왜구(倭寇)의 칩입이 심해지자 추자도(楸子島) 주민을 조공포(朝貢浦 :都近川)로 옮김
[ 이 무렵 남해안 일대에도 왜구의 침략 빈번히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