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씨중앙종문회 02)755-0919
고씨종문회총본부 064)751-0711, 758-5355
만든이 중시조32세손 고재민 jemina23@naver.com

종문자료실

Created with Sketch.

고시언(髙時彦)선생의 여항시선집 <소대풍요(昭代風謠)>

작성자
제주고씨
작성일
2000-06-02 21:39
조회
2082
<소대풍요(昭代風謠)>

조선 후기의 시인 성재(省齋) 고시언(髙時彦)이 1737년(영조 13)에 엮은 서민(庶民) 한시집(漢詩集)ㆍ여항시선집(閭巷詩選集). 활자본. 9권 2책. 실제 선집작업을 한 사람은 채팽윤(蔡彭胤)이다. 편찬자에 대해서는 채팽윤(蔡彭胤)이라는 설과 고시언(髙時彦)이라는 설이 있다. 그러나 이 두 사람은 모두 이 책이 간행되기 전에 돌아가셨다. 따라서 이 두 사람이 원래 편집을 주도하고 이후 다른 사람들에 의해 편찬이 완료된 것으로 볼 수 있다. 17세기 이래 기술직 중인(技術職中人)과 경아전(京衙前)에 의해 여항의 한시문학이 발달했는데 그것을 시선집의 형태로 묶어내는 풍조가 있었다.

체재는 원집(原集)ㆍ습유(拾遺)ㆍ별집(別集)ㆍ별집보유(別集補遺)로 되어 있다. 습유 뒤에 붙은 것은 편집이 이루어진 뒤에 추가로 발견된 것을 보유한 것이다.

전에 있던 해동유주(海東遺珠)>에 덧붙여 서리(胥吏)ㆍ중인(中人) 출신인 한간(巷間)의 시인 162인의 시 685 수를 모아 시체(詩體)에 따라 편찬했으며, 작가의 인적 사항은 목록에 모아 실었다.

저자의 서문(序文)을 비롯하여 이의현(李宜顯)ㆍ오광운(吳光運)ㆍ조명교(曺命敎)ㆍ윤광의(尹光毅)의 서문과 오강운ㆍ최경흠(崔景欽)의 발문(跋文)이 들어있다.

현재 유포되고 있는 것은 <풍요삼선(風謠三選)>을 편찬할 때(1857년, 철종 8)에 산망(散亡: 흩어져 없어짐.)될 것을 우려하여 그 이듬해에 다시 인출한 중인본이다.

<소대풍요>는 162인의 시편 685수가 시체에 따라 선집되어 있다. 수록된 시인은 중인·서인을 비롯하여 상인·천예 출신까지도 망라되어 있다. 그 중심이 되고 있는 것은 의역(醫譯)중인과 서리이다. 이 가운데서도 특히 의역중인은 “하대부 가운데 일등인 사람이다(下大夫一等之人).”라고 지칭되어 그 역할을 인정받기도 하였다.

<소대풍요>는 <해동유주(海東遺珠)>를 토대로 하여 증선(增選) 속보(續補)한 것이다. 이 책에 이르러 조선 초기부터 숙종 때까지의 위항시인의 시편을 정리하는 작업이 일단 마무리된 셈이다. 해동유주의 편자인 홍세태(洪世泰)의 작품은 시체별로 여러 편이 수록되어 있다. 별집(別集)에는 이 책의 편찬에 참여한 고시언의 작품도 수록되어 있다.

<소대풍요>를 모델로 위항시인의 이름을 사후까지 전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주갑(週甲) 때마다 속집을 간행하는 의지를 보였다. 그리하여 그 1주갑이 되는 1797년(정조 21)에는 <풍요속선(風謠續選)> 7권 3책이 간행되었다. 그 2주갑이 되는 1857년에는 <풍요삼선>이 나왔다.

<소대풍요>의 성격은 고시언의 제사(題辭)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이 책이 사대부의 ≪동문선≫과 표리관계에 있음을 천명하고 있다. 인위적인 신분에는 귀천이 있지만, 하늘이 준 노래는 같은 소리라 하여 위항인들의 시적 자부심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위항시인들은 시문 양식에 있어서 그들 나름의 새로운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전통적인 사대부층의 시문을 그대로 수용하였다. <소대풍요>에 수록된 시편의 대부분이 금체시로 채워져 있는 것도 시대의 풍상을 그대로 따른 것이다.

배율과 같은 장편은 찾아볼 수 없고 고체시에 있어서는 <육가잡영(六家雜詠)>의 6인 시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소대풍요>는 작가의식에 있어서도 현실문제에 대한 인식이 대개 회고적인 감상으로 흐르고 있다. 스스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 책의 편찬을 계기로 그 후 60년마다 위항 시인의 공동시집을 엮는 관례가 생겨 서민문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여항시선집으로 가장 앞서는 것은 1660년대에 간행된 <육가잡영(六家雜詠)>이다. 이것은 주로 의관(醫官)ㆍ역관(譯官)ㆍ중인 등 6인의 시를 모은 것이다. 이후 홍세태(洪世泰)에 의해 1713년(숙종 39) 여항시인 48명의 시를 모아 <해동유주(海東遺珠)>가 간행되었다. <소대풍요>는 기왕의 여항시선집 편찬의 전통을 이어받아 당대까지의 여항시를 총망라하여 수록했다. 이 점에서 <소대풍요>는 최초의 본격적인 여항시선집이라 할 수 있다. 이로부터 60년마다 여항시선집을 편찬하는 전통이 시작되어 <풍요속선(風謠續選)>(1797) <풍요삼선(風謠三選)>(1857)이 간행되었다.

이 시선집은 주로 17세기와 18세기 초기 여항시를 모은 것이다. 내용은 여러 사람의 시를 모은 것이라 일률적으로 나타내기 어려우나, 여항인으로서의 신분적 처지에 대한 갈등을 강개·우수의 감정으로 읊은 것이 많아 이것이 이 시기 여항시의 한 특징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이 책은 여항문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자료이다. 현재 1737년의 간행본은 찾기 어려우며, <풍요삼선>을 간행한 이듬해인 1858년에 최경흠(崔景欽)ㆍ유재건(劉在建) 등에 의해 운각활자(芸閣活字)로 중간된 것이 다수 남아 있다. 1980년 아세아문화사에서 영인한 것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